닫기

로그인

한국치안행정학회

즐겨찾기추가

간행물자료실

pISSN: 1738-503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8 no.1 (2021)
pp.1~19

- 자율방범대원 활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강필영

(서울시 종로구청 부구청장)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율방범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지역에 대한 애착, 주민 유대감, 지역사회 참여경험, 치안불안감, 활동 효능감, 조직몰입, 활동에 대한 지원의 7가지 영향요인 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3개의 모델로 분석하였다. 모델1은 지역애착, 주민 유대감, 참여경험, 치안 불안감의 4개 변수, 모델2는 활동 효능감, 조직몰 입의 2개 변수를 추가하고, 모델3은 활동지원의 1개 변수를 추가하여 회귀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모델1에서 지역애착, 주민 유대감, 참여경험은 자율방범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치안 불안감은 유의하지 않았다. 모델2에서 활동 효능감, 조직몰입은 유의 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모델1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지역애착, 주민 유대감, 참여경험이 유의 하지 않았다. 모델3에서 활동 효능감, 조직몰입이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활동지원은 오히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자율방범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활동 효능감과 조직몰입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활동 효능감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역애착, 주민 유대감, 참여경험은 자율방범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활동 효 능감, 조직몰입 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이 이를 압도할 만큼 크며, 자율방범활동에 대한 재정적 지원 이 오히려 긍정적이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정책적으로 자율방범활동의 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조직몰입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 며, 행정의 지원은 관리와 관여가 아니라 자생력을 키우는 방향이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Activities of Voluntary Neighborhood Watchmen

Pil-Young, Ka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activities of the voluntary neighborhood watchmen. The seven factors, the local affection, the residents' bond, the experience of community participation, the sense of security anxiety, the efficacy of activiti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upport for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hree models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odel 1 was regressed by four variables: local affection, residents' bond,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security anxiety; Model 2 added two variables: activity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odel 3 added one variable: support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ocal affection, residents' bond and participation experience in Model 1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utonomous crime prevention activities, but the security anxiety was not significant. Although the activity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odel 2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the local affection, residents' bond and participation experience in Model 1 were not significant. Although model 3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ctivity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upport for activities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voluntary crime prevention activities. The relative influence of activity efficacy has been shown to be greater tha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nclusion, it was understood that local affection, residents' bond, and participation experienc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utonomous crime prevention activities, but the relative influence of activity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variables is overwhelming, and financial support for autonomous crime prevention activities can have a negative impact. It wa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voluntary crime prevention activities and seek ways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olicies, and that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a direction to develop self-sustaining power, not management and involvement.

다운로드 리스트